공대생

백준 1074 Z Python 본문

스터디/백준

백준 1074 Z Python

상수나무 2022. 5. 23. 02:30

문제설명

한수는 크기가 2^N × 2^N인 2차원 배열을 Z모양으로 탐색하려고 한다. 예를 들어, 2×2배열을 왼쪽 위칸, 오른쪽 위칸, 왼쪽 아래칸, 오른쪽 아래칸 순서대로 방문하면 Z모양이다.

N > 1인 경우, 배열을 크기가 2^(N-1) × 2^(N-1)로 4등분 한 후에 재귀적으로 순서대로 방문한다.

다음 예는 2^2 × 2^2 크기의 배열을 방문한 순서이다.

N이 주어졌을 때, r행 c열을 몇 번째로 방문하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다음은 N=3일 때의 예이다.

제한사항

  • 1 ≤ N ≤ 15
  • 0 ≤ r, c < 2N

입력

첫째 줄에 정수 N, r, c가 주어진다.

출력

r행 c열을 몇 번째로 방문했는지 출력한다.

예제

 


이 문제의 key포인트

-> N > 1인 경우, 배열을 크기가 2^(N-1) × 2^(N-1)로 4등분 한 후에 재귀적으로 순서대로 방문한다.

문제를 오해하기 쉽다.

N이 주어지고 N이 1보다 크면 2^(N-1) × 2^(N-1)로 4등분 한 후, r과 c가 해당하는 사분면에서

다시 2^(N-2) × 2^(N-2)로 4등분한 후, r과 c가 해당하는 사분면에서

다시 2^(N-3) × 2^(N-3)로 4등분한 후, 

.

.

.

이렇게 재귀적으로 r과 c가 포함된 사분면을 분할해서 순서를 찾아내는 문제다. 

 


자료구조 및 알고리즘: 분할정복, 재귀


문제풀이

첫번째 풀이

코드(틀린코드, 틀렸습니다)

더보기
N, r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

length = 2 ** N - 1
half = 2 ** (N-1) - 1
count = 0
def counting(start_r, start_c):
    cnt = 0
    
    # 몇번째 Z인지 찾기
    dif_r = r - start_r
    dif_c = c - start_c
    # 현재 위치 전 Z까지의 개수
    num = (dif_r // 2) * ((half + 1) // 2) + (dif_c // 2)
    
    cnt += num * 4
    # 현재 4개짜리에서 몇번째인지 찾기
    # 현재 위치 시작위치 찾기 -> num+1번째 Z의 시작위치
    s_r = start_r + (dif_r // 2) * 2
    s_c = start_c + (dif_c // 2) * 2
    diff_r = r - s_r
    diff_c = c - s_c
    if diff_r == 0 and diff_c == 0:
        cnt += 1
    elif diff_r == 0 and diff_c == 1:
        cnt += 2
    elif diff_r == 1 and diff_c == 0:
        cnt += 3
    else:
        cnt += 4
    
    return cnt
half_num = (half+1) * (half+1)
# 1사분면
if 0 <= r <= half and 0 <= c <= half:
    # 개수세기
    count += counting(0, 0)
# 2사분면
elif 0 <= r <= half and half < c <= length:
    count += half_num
    count += counting(0, half + 1)
# 3사분면
elif half < r <= length and 0 <= c <= half:
    count += 2 * half_num
    count += counting(half + 1, 0)
# 4사분면
else:
    count += 3 * half_num
    count += counting(half + 1, half + 1)
print(count - 1) # 카운팅을 0부터 시작하므로

처음에 이 문제를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. 완전 틀린 개념으로 접근했는데 예제는 어떻게 다 맞았는지 모를 일

         내가 이해한 것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실제 문제가 원하는 것

처음에만 사분면을 구분하고 그 안에서는 2^(N-1) 길이만큼 Z모양을 돈 후 아래 칸으로 내려오는건줄 알았는데 N이 1이 될 때까지 재귀적으로 사분면을 나누어줘야 하는 문제였다. 따라서 위의 코드에는 반례가 존재한다.

# 반례

입력: 5, 22, 22

-> 정답: 828

-> 현재 답: 876

 

여기서 분할정복을 이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. 같은 유형의 문제로 계속해서 나누는 문제이고 각 문제들은 독립적이기 때문이다. 

 

두번째 풀이

코드(완성코드)

더보기
# BOJ 1074 Z
# 72ms
# 30840KB

N, r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
count = 0

# 분할정복(재귀)
def counting(start_r, start_c, n): # r, c 시작점, N
    global count

    length = 2 ** n - 1
    half = 2 ** (n-1) - 1

    if n == 1:
        # 거기서부터 좌표 찾으면서 누적
        if r == start_r and c == start_c:
            count += 1
        elif r == start_r and c == start_c + 1:  
            count += 2
        elif r == start_r + 1 and c == start_c:
            count += 3
        else:
            count += 4
        return

    half_num = (half+1) * (half+1)
    # 1사분면
    if start_r <= r <= start_r + half and start_c <= c <= start_c + half:
        # 다시 쪼개기
        counting(start_r, start_c, n - 1)
    # 2사분면
    elif start_r <= r <= start_r + half and start_c + half < c <= start_c + length:
        count += half_num
        counting(start_r, start_c + half + 1, n - 1)
    # 3사분면
    elif start_r + half < r <= start_r + length and start_c <= c <= start_c + half:
        count += 2 * half_num
        counting(start_r + half + 1, start_c, n - 1)
    # 4사분면
    else:
        count += 3 * half_num
        counting(start_r + half + 1, start_c + half + 1, n - 1)

counting(0, 0, N)

print(count - 1) # 카운팅을 0부터 시작하므로

n > 1이면 r, c가 존재하는 사분면에서 다시 재귀적으로 사분면을 쪼개도록 했고

n이 1일땐 Z에서 몇번째 위치인지 카운팅하고 return하도록 구현했다. 

'스터디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준 1260 DFS와 BFS Python  (0) 2022.05.30
백준 1107 리모컨 Python  (0) 2022.05.25
백준 1012 유기농배추 Python  (0) 2022.05.21
백준 18111 마인크래프트 Python  (0) 2022.05.19
백준 11401 이항 계수 3 Python  (0) 2022.03.06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