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우테코
- BFS
- Python
- 함수
- 프론트엔드
- JetsonNano
- 웹개발
- 문자열
- 코테
- node.js
- 우아한테크코스
- dfs
- 알고리즘
- 최단거리
- 코딩테스트
- express
- npm
- 프리코스
- Linux
- JS
- 고득점kit
- JavaScript
- 자바스크립트
- OpenCV
- 파이썬
- 그리디
- Sort
- 프로그래머스
- 백준
- 그래프
- Today
- Total
목록백준 (18)
공대생
내 접근법은 다음과 같았다. 1. 세 자리 수 두 개 입력받기 2. 각 수의 순서 바꾸기 3. 수 비교 알게 된 것 (1) split()..... num = input().split result = list() for i in range(2): temp = list() for a in range(2, -1, -1): temp.append(num[i][a]) result.append("".join(temp)) if(int(result[0]) > int(result[1])): print(result[0]) else: print(result[1]) 처음엔 위와 같이 num으로 수 배열 하나로 입력을 받고 이를 2차원배열 방식을 이용해서 입력받은 숫자의 순서를 거꾸로 바꾸려고 했다. 하지만 'builtin_fu..

실버 5 난이도의 문제. 처음 접근은 리스트로 시작했다. 리스트에 1~10000까지의 숫자를 넣고 셀프넘버가 아닌 수들의 리스트를 만들어 두 리스트의 차집합(?)을 구하려고 하였다. 또한 d(n) 함수도 n이 100보다 작을 땐 d(n) = n + n/10 + n%10 100보다 크고 1000보다 작을 땐 d(n) = n + n/100 + (n-100)/10 + (n-100)%10 이런식으로 조건문을 이용해 구할 생각이었다. 하지만 이렇게 코드를 짜면 n이 10000 이상이 될 때는 코드를 다시짜야하는 비효율적인 코드라고 생각하고 다시 찾아보니 n을 str로 변환하면 해당 문자열을 for문을 이용해 한글자씩 떼어낼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. 예를 들어 a = str(408) for i in a: prin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