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프리코스
- Linux
- 백준
- 우테코
- 자바스크립트
- 함수
- 프론트엔드
- 파이썬
- 고득점kit
- OpenCV
- 웹개발
- 우아한테크코스
- npm
- 그래프
- dfs
- BFS
- 문자열
- 그리디
- node.js
- express
- JetsonNano
- 최단거리
- Sort
- 프로그래머스
- 코딩테스트
- 알고리즘
- JS
- 코테
- JavaScript
- Python
- Today
- Total
공대생
백준 2178 미로탐색 Python 본문
문제설명
N×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.

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,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.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, (1, 1)에서 출발하여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,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.
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.
제한사항
- N, M(2 ≤ N, M ≤ 100)

입력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.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.
예제

이 문제의 key포인트
-> (1, 1)에서 출발하여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
그래프에서 목적지를 향해 가는 최단거리를 구하는 문제 -> BFS
자료구조 및 알고리즘: BFS
문제풀이
첫번째 풀이
코드(미완성코드, 틀린코드)
# BOJ 2178 미로 탐색
# DFS -> 최단거리 못찾음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 = [input().rstrip() for _ in range(N)]
# 상하좌우
dx = [0, 0, -1, 1]
dy = [-1, 1, 0, 0]
result = []
visited = [[False] * M for _ in range(N)]
def DFS(x, y, dis): # 현재 위치(열, 행), 거리
# 방문처리
visited[y][x] = dis
# 리턴조건
if x == M - 1 and y == N - 1:
result.append(dis)
return
# 상하좌우에 있는지 확인
for i in range(4):
next_x = x + dx[i]
next_y = y + dy[i]
if 0 <= next_x < M and 0 <= next_y < N:
if not visited[next_y][next_x] and graph[next_y][next_x] == "1":
visited[next_y][next_x] = visited[y][x] + 1
DFS(next_x, next_y, visited[next_y][next_x])
distance = 0
DFS(0, 0, distance)
print(result)
처음에는 그래프 문제에 인접한 곳으로 이동하는 문제라고 생각해서 DFS로 풀었다. 길이 여러 갈래로 나뉘지 않으면 (N, M)의 위치로 가는 거리를 잘 계산했지만 예제 2번처럼 목적지로 가는 길이 여러갈래로 나뉘었을 때 최단거리를 구하지 못했다.
최단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생각해보다가 그래프에서 최단거리를 구하는 문제를 풀 때 전형적으로 사용하던 방법을 생각하고 나니 BFS로 풀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
현재 노드에서 상하좌우에 1이 존재하면 현재 노드까지 오는 최단거리에 1을 더해주는 방식이다.

이 방법으로 풀려면 현재노드에서 인접한 위치에 있는 모든 노드를 찾아 현재 노드까지 오는 최단거리에 1씩 더해줘야 하기 때문에 DFS가 아닌 BFS로 풀어야 했다.
두번째 풀이
코드(완성코드, 맞았습니다!!, 104ms)
# BOJ 2178 미로 탐색
# BFS로 현재 노드에서 상하좌우에 있는 노드에 거리 1씩 더하기
# 104ms
# 32476KB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input = sys.stdin.readline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 = [input().rstrip() for _ in range(N)]
# 상하좌우
dx = [0, 0, -1, 1]
dy = [-1, 1, 0, 0]
result = []
visited = [[False] * M for _ in range(N)]
def BFS(x, y, dis): # 현재 위치(열, 행), 거리
queue = deque()
queue.append([x, y])
# 방문처리
visited[y][x] = dis + 1
while queue:
node = queue.popleft()
# 상하좌우에 있는지 확인
for i in range(4):
next_x = node[0] + dx[i]
next_y = node[1] + dy[i]
if 0 <= next_x < M and 0 <= next_y < N:
if not visited[next_y][next_x] and graph[next_y][next_x] == "1":
# 방문처리2
queue.append([next_x, next_y])
visited[next_y][next_x] = visited[node[1]][node[0]] + 1
distance = 0
BFS(0, 0, distance)
print(visited[N-1][M-1])
'스터디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697 숨바꼭질 Python ✔ (0) | 2022.06.11 |
---|---|
백준 7576 토마토 Python ✔ (0) | 2022.06.10 |
백준 2667 단지번호붙이기 Python (0) | 2022.06.02 |
백준 24444, 24445 알고리즘 수업 - 너비 우선 탐색 1, 2 (0) | 2022.05.30 |
백준 24479, 24480 알고리즘 수업 - 깊이 우선 탐색 1, 2 (0) | 2022.05.30 |